문헌

 

處士敬齋公墓碣銘(幷序) 처사 경재공 묘갈명(병서)

 

公諱榮進字勇之敬齋其號也晉氏其先南原人高麗  顯宗朝戶部尙書左右僕射文敬公諱含祚寔爲遠祖南原君諱錫爲中祖七世諱嵩文科行濟州牧使高祖胤賢曾祖聖重祖道鼎考德海倶隱德不仕妣咸陽吳氏  肅廟甲子七月七日生公公資質넉悟自幼不喜遊嬉不妄言笑及長好讀書常置身於硯右終日覃思了無倦色克致力於主敬工大以謝上察惺惺法爲體驗之要平日端拱危坐望之儼然人不敢以褒狎之態加之瞻視端正步履安詳雖在急遽倉卒之際罔或有失德器夙就義理明白文章特其餘事也詩亦冲澹和平本其性情湥得三百篇之軆制是以同時諸名碩無不下幡僕僕嘗以太極圖説東西銘付于左右以資朝夕寓日晚年築室于所居之近多藏書籍以爲子孫肄業之所每日早起招集家衆分之以職諭之以勤儉律己則繩尺斬然接人則和敬俱摯其發於言而見於書者皆親切有味無依樣蹈襲之態過誤者必曰恐晉某知之疑難者必曰就晉某質之此可以爲鄉黨之圍型而可傳於久遠也壽六十一而終葬之日操文致奠者相屬於道雲峯之德山村後麓艮坐原乃其衣履之所藏也配江陵金氏注簿汝珍女墓同兆異穴有一男範疇範疇一男龍采曾玄以下不盡錄嗚呼公一生猷爲皆爲做人之柯則而不能施之於當世矣然百世在後使來者誦其詩讀其書激發其良心焉則自當覩裘而知冶見靑而識藍矣所著詩文若干太半爲蠹魚之所侵食而天命圖説一部獨無恙公之所造可槩乎此也公十一代孫珠鐸以副提學李炳觀所撰行狀來徵碑銘不獲辭略爲增刪如上銘曰

莊重寡偈風儀可想潛心力學物理確敞婆娑林泉知命樂道德山屹屹幽宅永保

  柔兆困敦大壯月旣望    蔚山金定中撰

 

처사 경재공의 묘갈명(병서)

공의 휘는 영진(榮進)이요 자는 용지(勇之)이며 경재(敬齋)는 그의 호이니 진씨(晉氏)의 그 선계는 남원인이다. 고려 현종조에 호부상서 좌우복야 문경공 휘 함조(含祚)는 이 분이 바로 시조이고 남원군 휘 석(錫)이 중조이다. 7세조의 휘 숭(嵩)은 문과에 올라 제주목사를 하였다. 고조는 윤현(胤賢)이요 증조는 성중(聖重)이며 조부는 도정(道鼎)이요 아버님은 덕해(德海)니 덕을 숨기고 벼슬을 아니하였으며 어머님은 함양 오씨(吳氏)이다. 숙묘(肅廟) 갑자년 7월 7일에 공을 낳으니 공의 자질이 영리하여 어릴 적부터 유희(遊戱)를 좋아하지 아니하였고 언소(言笑)를 망령되게 하지 않았다. 장성해서는 독서를 좋아하고 항상 몸을 연우(硯右)에 두었으며 날이 마치도록 깊이 생각하여 잠시라도 게으른 빛이 없었다. 능히 주경공부(主敬工夫)에 힘을 써서 사상채(謝上蔡:송(宋)나라 선비)의 성성법(惺惺法:성성(惺惺)은 영리한 모양)으로 체험의 요점을 하였으며 평일에 항상 손을 단정히 곶고 무릎 꿇고 앉으면 그 기상이 엄연하여 감히 음탕하게 농담하는 태도로 대하지 못하였다. 첨시(瞻視)가 단정하고 보리(步履)가 안상하며 비록 급거창졸(急遽倉猝)한 즈음에 있어서도 혹 실수가 없었다. 덕기가 일찍 성취되었고 의리가 명백하였으며 문장은 특기여사(特其餘事)이다. 시(詩)도 역시 충담화평(冲澹和平)하면서 그 성정(性情)을 근본으로 하여 시경 삼백 편(詩經三百篇)의 체제를 깊이 얻었다. 이러므로 써 같은 시대의 모든 명인 석사가 기를 내리고 양보하지 아니하는 사람이 없었다. 일찍이 태극도설(太極圖說:송(宋)나라 주돈이(周敦頤)가 만든 성리학서(性理學書)) 서명(西銘:송(宋)나라 유학자(儒學者) 장재(張載)가 지은 것)을 좌우에 부치어 놓고 조석의 눈으로 보는 자료로 하였으며 만년에 거주하는 근처에 집을 짓고 서적을 많이 저장하여 자손이 공부하는 곳으로 하였으며 매일 일찍이 일어나 집안 식구를 불러 모아놓고 직책을 나누어 주고 근검(勤儉)하라고 타일렀으며 자기 몸을 단속하는데 있어서는 승척(繩尺)이 정확하고 사람을 대우하는데 있어서는 화경(和敬)이 다함께 진지하였으며 그 말에 발한 것과 글에 쓴 것이 다 친절하게 맛이 있고 모양에 의하여 도습(蹈襲)하는 태도가 없으므로 과오를 저지른 자는 반드시 말하기를 진모(晉某)가 알까 두렵다 하고 의심과 어려움이 있는 자는 반드시 말하기를 진모에게 가서 질정(質正)한다고 하였으니 이것은 가히 향당(鄉黨)의 위형(圍型)이 되어 가히 구원(久遠)하게 전할 것이다. 수가 61세에 돌아가시니 장례지내는 날 글을 가지고 전(奠)을 드리는 자가 길에 서로 연속되었다. 운봉의 덕산촌 후록(後麓) 간좌로 된 언덕이 그의 묘소이다. 배위 강릉김씨는 주부 여진(汝珍)의 따님이니 묘는 동조이혈(同兆異穴)이다. 1남이 있으니 범주(範疇)요 범주의 1남은 용채(龍采)이니 증현 이하는 다 기록하지 아니한다.

아! 공의 일생 생각하고 행동한 것이 사람을 만드는 가즉(柯則)이 되어 능히 당세에 시용(施用)하지 못하였으나 백세(百世)가 되어 있어 장차 올 것이니 오는 자로 하여금 그 시를 외우고 그 글을 읽어 그 양심(良心)을 격발(激發)하게 한즉 스스로 그 갓옷을 보고 야공(冶工)을 알 것이고 푸른빛을 보고 남초(籃草)를 알 것이다. 시문 약간이 있었는데 태반은 좀이 침식하였고 천명도설(天命圖說) 1부는 홀로 무양(無恙)하였으니 公의 학문 조예는 여기에 대개(大槩)가 있는 것이다. 공의 11대손 주탁(珠鐸)이 부재학 이병관(李炳觀)의 찬술한 행장을 가지고 와서 비명(碑銘)을 요청하므로 사양하지 못하고 간략히 위와 같이 증산(增刪)하고 명하여 가로되

 

장중과묵(莊重寡偈:씩씩하고 무거우며 말수가 적은 것)하였으니 풍의(風儀)를 가히 상상할 것이고

마음을 잠기고 학문에 힘쓰니 물리(物理)가 확실하게 창달하시었네

임천(林泉)에서 숨어 살면서 천명을 알고 도를 즐기시었지

덕산(德山)이 높고 높은데 유택(幽宅)을 길이 보전하리로세

 

  병자(1936)년 4월 16일

    울산 김정중(金定中)은 찬술함